bean_cod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bean_cod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52)
    • SQL (16)
    • Python (11)
    • TIL (16)
    • Article study (3)
    • ☆ 추가 학습 필요 (3)

검색 레이어

bean_cod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PYTHON

  • [PYTHON] list()와 [], sort()와 sorted, reverse

    2024.07.17 by ollive

  • [PYTHON] (기초) 문자열 출력, 이스케이프 코드, join 정리

    2024.07.10 by ollive

  • [python 문법] 반복문(for, enumerate, break)

    2024.06.25 by ollive

  • [python 문법] 조건문 (if, else, elif, : 들여쓰기)

    2024.06.25 by ollive

[PYTHON] list()와 [], sort()와 sorted, reverse

20. 정수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: list(), 매서드20 - 풀이 1) 매서드사용list 매서드 sort는 해당 list 내 데이터 타입이 같은 자료만 있을 때 사용 가능하다.또한 매서드는 함수에 담을 수 없다. 따라서 값이 수정되면 그때마다 원본리스트가 바뀐다.def solution(n): answer = [] # 숫자 n을 문자형으로 바꿔주면 i에 자릿수를 하나씩 넣을 수 있음 for i in str(n): #각 자리값을 리스트에 추가하고 역순으로 정렬함 #.sort()와 .reverse()는 .sort(reverse = True)로 사용이 가능함 answer.append(i) answer.sort() answer.r..

Python 2024. 7. 17. 22:10

[PYTHON] (기초) 문자열 출력, 이스케이프 코드, join 정리

문자열 출력하기 먼저 문자열 입력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받을 수 있다..input() : 사용자에게서 인수를 입력받아 사용하는 매서드이다. 입력하는 인수가 a와 b에 입력된다..strip() : 문자열의 양 옆 공백제거 (.lstrip()과 .rstrip()은 각각 문자열의 왼쪽/오른쪽 공백 제거로 사용함).split() : ()안에 형식으로 문자열을 구분한다. 아래식에서는 공백을 기준으로 두 문자를 구분한다.a, b = input().strip().split(' ') 문자열 그대로 출력하기위에서 입력받은 수를 출력할 때는 print()를 사용해주면 된다. (a와 b에 각각 1, 2를 넣었다고 가정한다.)print(a) # 출력..

Python 2024. 7. 10. 16:58

[python 문법] 반복문(for, enumerate, break)

여러 요소를 출력하거나 리스트 속 여러 요소를 출력할때 하나씩 print를 하지 않고 for 문을 사용하여 간단히 출력할 수 있다.  변수명의 경우 아무 이름이나 사용해도 무방하다. 잠깐 사용하는 변수이름이다.fruits = ['사과','배','감','수박','딸기']for fruit in fruits: print(fruit)fruit 변수에 fruits 변수를 하나씩 넣어 fruit 변수를 출력시킴fruits = ['사과','배','감','수박','딸기']for Amo in fruits: print(Amo)Amo 변수에 fruits 변수를 하나씩 넣어 Amo 변수를 출력시킴 list함수의 dictionary에서 필요한 변수만 불러와서, 조건에 맞는 값을 출력시킬 수 있다.people = [ ..

Python 2024. 6. 25. 22:00

[python 문법] 조건문 (if, else, elif, : 들여쓰기)

파이썬 문법의 들여쓰기:문이 생기면 들여쓰기를 해야 그 내용문으로 인식된다 money의 값에 따라 출력문을 다르게 내고자 할때 if를 사용한 조건문 코딩 if는 조건문에 사용되며, 뒤에 :(콜론)을 붙여서 조건을 마무리한다.출력될 내용은 if 조건문의 다음줄에 tab을 눌러 들여쓰기 한 후 작성하여야 내용이 출력된다.money= 2000if money >3800: print('택시를타자!')else: print('택시를 못타ㅠ') print('그럼 뭘타지?')money 가 3800 보다 작으므로 '택시를 못타ㅠ' 와 '그럼 뭘타지' 가 출력된다. if 조건문이 :(콜론)으로 끝난후 다음줄에 들여쓰기를 안하고 작성한 경우, 조건문과 상관없이 print() 값이 출력된다.money= 5000..

Python 2024. 6. 25. 22:00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
다음
TISTORY
bean_cod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